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 후 첫 단체 사료 기증식 열려

6·3동지회, 1964년 한일회담 반대 시위 등 민주화운동 자료 기증
6·3항쟁 주역들의 뜻, 민주주의 정신으로 이어지다

2025-10-24 08:30 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왼쪽부터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6·3동지회 송수일 회장이 기증식 행사서 기증서와 감사패를 서로 교환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뉴스와이어)--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는 10월 22일(수) 오전 10시 30분 민주화운동기념관 1층 다목적홀에서 ‘6·3동지회 사료 기증식’을 개최했다. 이번 기증식은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 이후 첫 단체 명의 기증식으로, 1964년 ‘6·3항쟁’의 주역들이 직접 보존해 온 귀중한 사료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기증하며 민주주의의 뿌리를 잇는 의미를 더했다.

당시의 청년들이 외쳤던 민주주의의 가치, 지금도 유효하다

행사는 김성일 학예연구실장의 사회로 6·3동지회 송수일 회장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재오 이사장의 인사말을 비롯해 서수일 사무총장의 ‘기증의 변’ 낭독, 기증서 및 감사패 수여식, 기념 촬영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날 기증식에서 송수일 회장은 “당시의 젊은 세대가 목숨 걸고 지켜낸 민주주의의 씨앗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며 “이 기록이 후세에 올바르게 전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오 이사장은 “기념관 개관 첫해, 첫 단체 기증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깊다”며 “기증해 주신 소중한 자료는 민주화운동의 공적 아카이브로 영구 보존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대 문리대 학생회장으로 6.3항쟁을 주도했던 주역 중 한 명인 김덕룡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축사를 통해 “자료를 사설 단체가 보관하고 관리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며 “사업회에서 노력해 주신다고 해서 마음이 든든하다”고 말했다.

깃발·현판·간행물 등 6·3항쟁의 역사적 증거 100여 점 기증

이번에 기증된 자료는 △6·3동지회 현판 2점 △결성 당시 제작된 깃발과 태극기 △기념전시용 액자 △6·3동지회 발행 간행물 등 총 100여 점이다. 이들 자료는 1960년대 청년 세대가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외쳤던 시대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앞으로 기념관 전시·연구·교육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보이는 수장고 ‘6·3기증전’ 특별 공개

참석자들은 기증식 이후 ‘보이는 수장고’에서 ‘6·3동지회 기증사료전’ 특별 전시를 관람하며 기증 사료의 활용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간도 가졌다. ‘보이는 수장고’ 전시는 민주화운동기념관의 수집, 보존, 관리 과정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공개형 아카이브 프로그램으로, 기증 단체들과의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협력관계에 일조해왔다. 일반 관람객들에게는 6·3항쟁의 역사와 의미를 쉽게 전달함과 동시에 재인식의 계기를 만들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보이는 수장고’는 민주화운동기념관의 기획 기증전시로 운영될 계획이다.

한편 6·3항쟁은 1964년 6월 3일 박정희 정권의 굴욕적인 한일회담에 대해 대학생들을 주축으로 시민들이 반대해 벌인 대규모 시위를 말한다. 1964년 3월 24일부터 1965년 8월 말까지 전국의 대학생, 중고생 등 연인원 350만 명이 나선 강력한 투쟁을 막기 위해 박정희 정권은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무력으로 학원과 언론 통제를 강화했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 동력이었던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2001년 국회에서 제정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법률 제19627호, 2023. 8. 16. 일부개정)에 의해 설립됐고, 2007년 4월 11일 행정안전부 산하 기타 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사업회는 국가 기념일인 6·10 민주항쟁 기념식 개최를 포함해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사업, 민주화운동 관련 사료 수집 사업, 국내외 민주화운동 및 민주주의 조사 연구 사업, 민주주의교육 사업 등 우리 사회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사업회는 2018년 말 경찰청으로부터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의 운영권을 이관받아 국가 폭력의 현장이었던 대공분실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장인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건립, 올해 6월 정식 개관했다. 아울러 2023년 1월부터 이천 소재의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의 위탁 관리를 맡아 묘역 관리 및 추모제 개최,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kdemo.or.k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