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아몬드의 숨은 잠재력 최대치로 밝혀져… 최신 연구에서 건강 증진 성분 발견(사진: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서울--(뉴스와이어)--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는 브라이트시드(Brightseed)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캘리포니아 아몬드의 새로운 건강 증진 성분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브라이트시드의 독자적 인공지능(AI) 플랫폼 포리저(Forager®)가 활용됐으며, 연구진은 세 가지 캘리포니아 아몬드 품종 ‘넌파레일(Nonpareil)’, ‘인디펜던스(Independence)’, ‘몬터레이(Monterey)’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대사체분석/메타볼로믹스(Metabolomic Analysis/Metabolomics)를 실시해 인체 건강에 기여하는 새로운 성분을 확인했다. 특히 세 품종 모두에서 건강 촉진 화합물이 널리 존재함을 확인해 다양한 식단에 아몬드를 포함할 필요성이 더욱 확고히 뒷받침됐다.
연구 결과, 캘리포니아 아몬드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무려 네 배 더 많은 건강 증진 성분이 확인돼 아몬드가 지닌 잠재적 효능에 대한 이해를 한층 심화시켰다. 여기에는 과학적으로 건강 효능이 입증된 17종의 생리활성물질(bioactive compounds)이 포함됐으며, 그중 6종은 아몬드에서 처음 보고된 성과다.
특히 연구진은 아몬드에서 총 530종의 건강 증진 식물화학물질(phytochemicals)을 규명했으며, 이는 기존에 문서화된 수치의 네 배에 달한다. 식물화학물질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화합물로, 뇌·장·대사·세포·면역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Food Chemistry’에 게재됐으며, 아몬드에 풍부하게 함유된 식물성 유익 화합물의 농도를 강조하며 아몬드의 강력한 영양 및 건강 혜택을 다시금 부각시켰다. 특히 아몬드에서 발견된 성분에는 대사산물(metabolites)과 지질이 포함돼 있으며, 이들은 뇌·세포·장·대사·면역 건강에 유익하다는 강력한 과학적 근거가 존재한다.
이번 연구는 아몬드의 영양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저온 살균과 같은 가공 방식이 영양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까지 조명했다.
지난 30여 년간 발표된 200편이 넘는 동료 평가 논문은 캘리포니아 아몬드 섭취가 심장 건강, 혈당 조절, 체중 관리 등 다양한 건강 분야와 연관돼 있다는 것을 밝혀내고, 아몬드가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입증해왔다. 그러나 아몬드의 분자 조성은 여전히 충분히 탐구되지 않은 영역으로 남아 있었다.
브라이트시드의 독자적 AI 기술인 포리저는 최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 세계 최대 규모의 식물 천연물 라이브러리, 그리고 동료 검토 문헌 기반의 생리활성물질 건강 모델을 결합해 아몬드 연구를 확장했다.
엘레나 헴러(Elena Hemler)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영양 연구 부국장은 “이번 발견은 아몬드의 영양적 가치와 건강 효능에 대한 이해를 한층 심화시키며, 건강한 식단에 아몬드를 포함할 필요성을 더욱 확고히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신흥 메타볼로믹스와 AI 도구를 활용해 건강과 영양 전반에 걸쳐 새로운 통찰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브라이트시드 대사체학 부국장인 클레이 블로지스(Clay Bloszies) 박사는 “대사체학 분야는 앞으로 식단과 건강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밝히는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수백만 종의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하는 만큼, 우리의 포리저 AI 플랫폼은 인류 건강을 증진시킬 강력한 소분자들을 밝혀내는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아몬드가 대사 건강부터 인지 기능까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아우르는 구체적인 효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건강을 중시하는 식단에서 아몬드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켰다. 또한 아몬드와 관련한 향후 발견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영양학 연구와 기능성 식품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새로운 분석은 30년에 걸친 아몬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며, 아몬드의 심장·대사 건강 효능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한 최신 동료 평가 논문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연구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8814625023714
연구 용어집
· 생리활성물질(Bioactive compound or bioactives): 식물에 소량 존재하며 인체에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식물 화합물의 일종. 암,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환 예방과 관련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질에는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라이코펜(lycopene),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리그난(lignan), 탄닌(tannins), 인돌(indoles) 등이 있다.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 능력과 질량분석기의 직접 질량 측정 기능을 결합한 분석 기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다양한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으며, 질량 검출기는 분자량, 구조, 정체성, 양, 순도 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대사산물(Metabolite): 대사산물은 인체가 음식을 분해할 때 생성되거나 사용되는 소분자 화합물을 의미한다. 1차 대사산물(Primary metabolite)은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탄수화물, 아미노산, 단백질 등)을, 2차 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은 즉각적인 생존에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경쟁적 이점을 제공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 대사체분석/메타볼로믹스(Metabolomic Analysis/Metabolomics): 세포, 체액, 조직 또는 생물체 내 소분자(대사산물)의 포괄적인 측정을 포함하는 분석화학의 신흥 분야. 대사체 분석의 목표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광범위한 대사산물을 식별하고 정량화하는 것이다.
· 식물화학물질(Phytochemicals): 식물화학물질(또는 식물영양소)은 식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화학물질로, 식물의 면역체계 일부를 형성하며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기생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 이 물질은 인간에게도 유사한 보호 효과를 제공하여, 환경 독소나 체내 자연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아몬드, 정향, 베리, 다크 초콜릿에 존재하는 폴리페놀(polyphenols), 차와 와인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호박·당근·피망 등에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등이 있다.
브라이트시드 소개
브라이트시드(Brightseed)는 생리활성물질(바이오액티브, bioactives) 전문 기업으로, 세계경제포럼(WEF)이 선정한 글로벌 이노베이터다. 브라이트시드는 AI 기반 발견을 통해 인류 건강을 증진하는 자연 기반 솔루션을 밝혀내고 있으며, 독자적 AI 플랫폼 ‘포리저(Forager®)’를 통해 바이오액티브 발견, 생물학적 검증, 성분 개발 과정을 수년에서 수개월로 단축시킨다. 이를 통해 자연과 인류를 잇는 새로운 연결을 빠르게 규명하고 있다. 브라이트시드는 임상적으로 입증된 바이오액티브를 건강보조제, 식음료, 전문 영양, 메디컬 푸드 분야에 공급하며, 전 세계적으로 선제적 건강 관리에 기여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브라이트시드 웹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소개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Almond Board of California)는 우수한 재배 방식으로 생산된 천연 식품 아몬드로 모두의 삶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단체다.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는 미국 캘리포니아 전역에 걸쳐 7600여 개에 달하는 재배 농가들과 가공 업체들을 대표해 전략적인 시장 개발, 혁신적인 연구 진행, 업계 내 모범 경영 도입 촉진 등을 통해 건강에 좋은 아몬드를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는 1950년 설립돼 캘리포니아 주의 모데스토 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 농무부의 관리 하에 있는 비영리 단체다.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와 캘리포니아 아몬드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캘리포니아 아몬드 웹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X), 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한국 사무소로 연락하면 자세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